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턱에 힘빼기2

노래할 때 목에 힘이 많이 들어가시죠? 이렇게 하세요.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래할 때 목에 힘 안 들어가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노래할 때 목에 힘이 들어가서 고민이신 분들은 아래 본문을 확인해 주세요. ✅ '아' 발음의 중요성 턱이 벌어진다는 것은 단순히 발음에 따라 벌어진다기보다는 호흡의 세기에 따라 벌어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산에서 맹수를 만났을 때, 비명을 본능적으로 지릅니다. 사람이 비명을 지를 때 어떤 발음으로 지르나요? '이'라는 발음으로 비명을 지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대부분 보통 '으악!' '악!' 하는 소리로 지릅니다. 사람이 '아'라는 발음으로 크게 소리를 지르는 이유는 위험에 처한 상황에서는 자기 자신의 몸에서 낼 수 있는 가장 큰 소리를 내려는 본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즉 '아'라는 발음이 가장.. 2022. 9. 10.
노래할 때 발음의 원리를 알고 불러라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래할 때 발음의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래발음의 원리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본문을 참고해주세요. 이에아오우를 잘해야 한다 발성에 중요한 모음으로 다섯 가지 모음이 있습니다. i e a o u 발음이 그것인데 이는 서양음악 발음의 기준이기 때문에 이것을 한글로 바꾼다면 이에아오우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수평적으로 나열했을 때 이에아오우 라는 발음의 순서는 가장 밝은 모음에서부터 점점 어두운 모음으로 바뀌는 순서이기도 합니다. 가장 밝은 모음 '이' 발음은 위로는 벌어지지 않지만 입을 넓게 벌려야 됩니다. 가장 어두운 모음인 '우' 발음은 입을 좁게 벌린 채로 위로 벌어지는 느낌이 됩니다. 구강 공간의 측면에서의 '이에아오우' 발음 구강 공간의 관점에.. 2022. 9. 10.
반응형